마스타니 후미오, «아함경»과 «불교개론»

선입견 때문인지는 몰라도 일본학자들의 글은 되도록 피하고 싶은 마음이 내게 있었나 보다. 내가 이 책을 택한 것은 순전히 «아함경»을 읽고 싶은 마음의 연장선이었다. 아함경을 읽게 된 계기는 작년 여름에 어느 절집에서 우연히 만난 스님께서 «아함경»과 «금강경»을 읽어보라고 권해서였다. 그저 혼자서 불교를 배우려고 이책 저책 뒤적이며 «벽암록»이니 «무문관»이니 하는 수준에 맞지도 않는 책들, 이제 보면 참으로 불요불급했던 책들을 읽고 있었던 나는, 그 스님의 권에 따라 «아함경»을 읽기 시작하였다. 내가 구입한 역본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한문에서 번역한 역본이었다. 그러나 그저 경전을 읽는다는 의미만 있을 뿐, 부처님이 가르치신 사성제가 무엇이고, 팔정도가 무엇이고, 연기가 무엇이고 열반이 무엇인지 절실하게 다가오지 않았다.

그때나 지금이나 매 한가지이지만, 나는 아직 불교를 배우는 초보자 중의 초보자다. 이렇게 진척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불교 배우기를 그칠 수 없는 것은, 구도자의 삶이 항상 내 마음 한 켠에 청정한 영상으로 남아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일상에서 평범하게 살지라도 나는 그 영상만큼은 지울 수 없어 어떤 식으로든 그 영상과 더불어 호흡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런 끈질긴 호흡 끝에 «아함경»을 읽기 시작했는데 이마저도 별도의 진척이 보이지 않았으니 나로서는 나에 대하여 참 실망할 만도 했다.

그래도 포기할 수 없어 빨리어에서 번역한 역본이 있다길래 내쳐 그것을 구입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맛지마니까야»(중부아함), «쌍윳타니까야»(상응부아함)는 무려 십수 권에 이르고 권당 가격도 만만치 않아 포기했다. 그러다가 택한 책이 바로 이 책, 마스타니 후미오의 «아함경»이다.

이 책은 «아함경»이라는 서명을 달고 있지만, «아함경» 번역서가 아니라 «아함경» 해설서이다. 아주 쉽고 다정하고 조심스러운 이야기와도 같은 해설서. 그러나 절실한 마음을 일으키는 해설서. 이 책을 읽다보면 일본학자들의 저력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 책의 저자 마스타니 후미오는 철두철미 빨리어 원전을 토대로 «아함경»을 해설한다. «아함경»을 해설하되 각종 학문적 논의를 일별하면서 차곡차곡 나아가는 방식을 취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와타나베 쇼코의 «불타 석가모니»의 경우는 부처님의 일생을 이야기하면서 각종 학문적 논의들을 섭렵한 흔적을 역력히 드러내느라 책의 생동감이 떨어지는 편에 속한다. 그러나 마스타니 후미오의 «아함경»은 저자 자신의 학문적 역량이 상당할 텐데도 그런 학문적 접근이 아니라 내면적 접근을 하면서 내용을 서술해 나간다. 그래서 그가 감동하는 대목에서 나도 감동하고, 그가 조심스러워 하는 대목에서 나도 조심스러워 한다. 경전과 저자와 독자가 호흡을 같이 한다는 것은 참으로 행복한 일이다.

그는 극동아시아의 대승불교가 가지고 있는 견해와 다른 견해를 서술할 때에는 각별히 조심스럽다. 이 조심스러움은 대승불교의 역사 역시 위대한 불교의 역사임을 주저없이 인정하기에 가능하다.

내용은 1. 그 사람, 2. 그 사상, 3. 그 실천, 이 세 대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함경»을 해설한다는 명목하에, «아함경»의 텍스트에 근거하여, 그리고 «아함경»에 대한 자신의 웅숭 깊은 이해를 토대로, 저자는 부처님의 근본적인 가르침들을 이야기한다. 사성제, 팔정도, 연기, 열반, 선우, 삼보, 이타행 등등, 불교의 근본 주제들이 하나하나 이야기된다. 빨리어에 기반한 그의 설명은 이해하기 쉽고 십분 공감이 되고 부드럽다. 그 주제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서양철학자들의 견해가 가끔씩 등장하지만, 눈에 거슬리지 않는다. 나같은 경우에는 삶의 가르침에 관한 한 서양철학자들의 견해를 평가절하하는 편에 속하기 때문에 저자가 그들의 견해를 삽입한 것이 이채롭긴 했지만, 다른 독자들로선 환영할 만한 일인지도 모른다.

buddhism.jpg이 책을 읽고 나니 책의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워낙 마음에 잘 스며든 탓일까. 마치 한 줄기 바람을 쐬고 난 기분이다. 아무튼 이 책의 내용은 독자들에게 강력하게 육박하거나 강렬한 호흡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늘 곁에 두어야 하는 책인 것만 같다.

같은 저자의 또 다른 저서, «불교개론»도 읽어보았다. «불교개론»과 «아함경»은 중복되는 내용이 상당히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책 역시 기쁘게 읽었다. «불교개론»은 «아함경»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서술하는 대신, “불교의 역사”, “경전과 종파”를 덧붙혀서 소승불교에서 대승불교, 선불교까지 이어지는 불교의 역사와 경전 번역 등에 관하여 서술하고 있다. 불교에 입문하기 원하는 독자들이라면 이 두 책 중 어느 책을 선택해도 후회하지 않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책들은 이원섭 선생의 탁월한 번역을 거쳐서 더욱 빛난다. 일본 저자들에 대한 이유 없는 선입견이 이 책을 늦게 만나게 만들었다는 사실이 못내 아쉽다.

마스타니 후미오, «아함경»과 «불교개론»”에 대한 7개의 댓글

  • 이즈음에 선생님의 글은 매우 쉽고 넉넉해서 머리에 잘 들어 옵니다. 쉬운 글을 쓰기까지 얼마나 어려운 각고의 내면적 용해가 있었을까요… ‘아함경’의 몇 구절이라도 구체적으로 소개해 주시면 도움이 많이 될텐데요…

    강물
  • 요즘은 ‘아함경’을 읽기 위한 준비들을 하나하나 착수하고 있습니다. 원시불교에 관한 입문서들 고르고 읽기, 빨리어 공부책 구입하기, 한문공부(아주 천천히) 등이지요. 아직 모르는 게 너무 많아 글쓰기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원래 모르는 놈이 글쓰는 것이긴 하지만서두.

    Gosinga
  • 두 권의 책 모두 정말 감명깊게 읽고, 처음 불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월폴라 스님의 책도요. 정말 감사합니다. 원시불교에 대해서 좋은 책들 계속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다경
  • 반갑습니다. “아난다여, 좋은 벗이 있고 좋은 동지와 함께 있다는 것은 이 성스러운 길의 전부이니라”는 말이 있지요.

    Gosinga
  • 오랫만입니다. 잘 지내시지요! 아함경을 읽으려는 마음이 들어 자료를 찾아보던 중, 고싱가 숲에 들르게 되었네요. 한글 번역 판본 중 적절한 분량으로 입문하고 싶은데, 길이 막막하네요. 지금 단계에서는 주석이나 해설이 너무 많지 않은 상태로 우선 일독하고 싶습니다. 아무튼 기회 되면 뵐 수 있으리라 고대하고 있습니다.

    김재인
  • 아시다시피, 국내에서 접할 수 있는 아함경은 먼저 한역아함과 팔리 니카야 두 부류가 있습니다.

    한역아함과 팔리 니카야의 내용을 원문으로 일부 비교해 보았습니다만, 한역아함은 확실히 팔리 니카야보다 후대에 형성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평행적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한역아함은 팔리 니카야를 해석적으로 번역한 것이어서 독자들에게는 좀더 이해하기 쉬운 면도 있는 반면, 팔리 니카야의 깊은 함의를 훼손한 부분들도 눈에 자주 띕니다. 그점에서 팔리 니카야를 먼저 접근하고 후일에 경문을 해석할 때 한역아함을 참조하는 방향을 권하고 싶습니다.

    국내에서 적절한 분량의 팔리 니카야는 그 종류가 몇 가지 안됩니다.

    마스타니 후미오, 편집부 역, 「부처님의 가르침」(불교시대사 1992), 285면
    냐나킬로카, 김재성 역, 「붓다의 말씀」(고요한 소리 2002), 229면
    일아, 「한 권으로 읽는 빠알리 경전」(민족사 2008), 752면

    위 세 권을 거론할 만한데, 번역 면에서는 마스터니 후미오나 냐나틸로카 책을 추천합니다만, 분량상 일아스님의 책이 아마도 선생님께서 찾으시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한역아함은 고익진, 「한글 아함경」을 추천합니다. 현대 불교학자 중 가장 귀감이 될 만한 분의 편역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간 절판되었다가 다행히도 올 여름에 재간행(담마아카데미 2014, 903면)되었습니다.

    고싱가
  • 고언 감사합니다. 공부가 진척되면 또 문의하겠습니다.
    건강하고 정진하세요.

    김재인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