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
878“저마다 자신의 견해에 고착된 자들은
갖가지로 분쟁하면서 선덕자로 자처하며 말합니다.
‘이와 같이 아는 자는 법을 아는 자이며
이것을 비난하는 자는 불완전한 자이다.’879그들은 이와 같이 분쟁하면서 쟁론하며,
또한 ‘다른 자는 어리석은 자, 부덕자’라고 합니다.
과연 그들 중 어떤 말이 진리입니까?
실로 그 모든 자들이 선덕자로 자처하고 있는데!”[세존]
880“만약 남의 법을 인정치 아니하는 자라면
그는 어리석은 자, 우둔한 자, 지혜가 천박한 자이며,
[그에게는] 모든 자가 곧 어리석은 자들, 지혜가 몹시 천박한 자들,
그 모든 자가 견해에 고착된 자들입니다.881만약 스스로의 견해에서 정화된 자들이라면
그들은 지혜가 순정한 자들, 선덕자들, 지각 있는 자들이며,
그들에게는 그 누구도 지혜가 천박하지 않으며,
그들에게는 견해도 그렇게 이루어진 것입니다.882나는 ‘이것이 참된 것’이라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그런 것은 어리석은 자들이 서로 대립하여 하는 말입니다.
그들은 저마다 자신의 견해를 진리로 삼았기에
남을 ‘어리석은 자’로 여기는 것입니다.”[질문자]
883“어떤 자들이 ‘참된 진리’라고 말하는 것,
바로 그것을 다른 자들은 ‘거짓된 허위’라고 말합니다.
이와 같이 분쟁하면서 쟁론하고
어찌하여 하나를 말하지 못하는 것입니까, 사문들이!”[세존]
884“하나로서의 진리는 있되 쌍으로서는 없습니다.
[진/위, 시/비 등] 쌍에서 벌어지는 쟁론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인생들,
그들은 갖가지로 자신의 진리들을 포효합니다.
그리하여 하나로서의 것을 말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사문들이!”[질문자]
885“어찌하여 갖가지로 진리들을 말하는 것입니까,
선덕들로 자처하면서 논하는 자들이!
그들은 갖가지로 수많은 진리들을 따라 유념하고 있는 것입니까,
아니면 사색思索을 따라 유념하고 있는 것입니까?”[세존]
886“실로 갖가지 수많은 진리들이 있는 것이 아니며,
상想이 아닌 바에야 세간에 항상하는 것들은 없습니다.
그들은 사색과 견해에 빠져 사유하고서
‘진리, 거짓’이라는 두 겹의 법을 말합니다.887보이는 것이나 들리는 것이나 계금戒禁이나 지각되는 것들,
이것들을 의지하고서 [남을] 경시하는 자,
[자신의] 결론을 토대로 기뻐하는 자,
그는 ‘다른 자는 어리석은 자, 부덕자’라고 합니다.888무언가에 의하여 남을 ‘어리석은 자’로 여기는 자,
그 무언가에 의하여 자신을 ‘선덕자’라고 합니다.
그는 스스로 자신을 선덕자로 자처하면서
남을 경시합니다, 바로 그렇게 늘어놓으면서.889그는 차고 넘친 견해로 이루어진 자,
만심慢心에 취해 만심이 충만한 자,
스스로 자신에게 생각으로 관정灌頂한 자,
그 견해들이야말로 그에게서 그렇게 이루어진 것입니다.890만약 남의 말에 의하여 천박한 자가 되고 말 자라면
그 자신이 이미 지혜가 천박한 자인 것입니다.
그러나 만약 그 스스로 선인禪人으로서 명지明智에 이른 자라면
[그에게는] 사문들 중에 어리석은 자는 아무도 없습니다.891‘이와 다른 법을 말하는 자,
그는 청정에 어긋난 불완전한 자이다’,
이와 같이 외도들은 각양각색 말하며,
스스로의 견해를 흠씬 탐합니다.892그들은 ‘이것이 바로 청정’이라고 말하며
‘다른 법들에는 청정이 없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외도들은 각양각색 고착되어서
자신의 노선에 들어 거기에서 확고하게 말합니다.893또한 자신의 노선에 들어 확고하게 말하는 자는
이제는 남을 ‘어리석은 자’로 여겨서 어떻게 하겠습니까?
실로 그는 그 스스로 싸움을 유발할 것입니다,
남을 두고 어리석은 자, 법이 청정하지 못한 자라고 하면서!894그는 결론을 토대로 스스로를 한정하고서
더욱 세간에 빠져들어 쟁론하게 됩니다.
그러나 일체의 결론을 버리는 유정은
세간에서 싸움을 벌이지 않습니다.”— «숫타니파타» 4.12, “소결집경小結集經”[1]“결집”이라고 옮긴 팔리어 “viyūha”는 군대가 ‘집결’하거나 게송이 ‘결집’된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 경은 질문자와 답변자의 문답을 모아놓은 게송이라는 뜻에서 “결집경”이라는 제목을 붙인 듯하다. 이 해석이 옳다면, 질문자는 한 사람이 아니라 두어 사람인데 다만 각 문답이 같은 주제로 엮을 만하기에 모아놓은 것일 수도 있다.
* * *
878“Sakaṃ sakaṃ diṭṭhi paribbasānā
viggayha nānā kusalā vadanti:
‘yo evaṃ jānāti, sa vedi dhammaṃ,
idam paṭikkosam akevalī so.’879Evam pi viggayha vivādiyanti,
‘bālo paro akusalo’ ti cāhu,
sacco nu vādo katamo imesaṃ,
sabbe va h’ ime kusalā vadānā”.880“Parassa ce dhammam anānujānaṃ
bālo mago hoti nihīnapañño,
sabbe va bālā sunihīnapaññā,
sabbe v’ ime diṭṭhi paribbasānā.881Sandiṭṭhiyā ce pana vīvadātā
saṃsuddhapaññā kusalā mutīmā,
na tesaṃ koci parihīnapañño,
diṭṭhi hi tesam pi tathā samattā.882Na vāham ‘etaṃ tathiyan’ ti brūmi,
yam āhu bālā mithu aññamaññaṃ:
sakaṃ sakaṃ diṭṭhim akaṃsu saccaṃ,
tasmā hi ‘bālo’ ti paraṃ dahanti”.883“Yam āhu ‘saccaṃ tathiyan’ ti eke,
tam āhu aññe ‘tucchaṃ musā’ ti,
evam pi viggayha vivādiyanti,
kasmā na ekaṃ samaṇā vadanti”.884“Ekaṃ hi saccaṃ na dutīyam atthi,
yasmiṃ pajāno vivade pajānaṃ,
nānā te saccāni sayaṃ thunanti,
tasmā na ekaṃ samaṇā vadanti”.885“Kasmā nu saccāni vadanti nānā
pavādiyāse kusalā vadānā:
saccāni su tāni bahūni nānā,
udāhu te takkam anussaranti”.886“Na h’ eva saccāni bahūni nānā,
aññatra saññāya niccāni loke,
takkañ ca diṭṭhīsu pakappayitvā
‘saccaṃ, musā’ ti dvayadhammam āhu.887Diṭṭhe sute sīlavate mute vā
ete ca nissāya vimānadassī
vinicchaye ṭhatva pahassamāno
‘bālo paro akusalo’ ti cāha.888Yen’ eva ‘bālo’ ti paraṃ dahāti,
tenātumānaṃ ‘kusalo’ ti cāha:
sayam attanā so kusalo vadāno
aññaṃ vimāneti, tath’ eva pāvā.889Atīsaraṃdiṭṭhiyā so samatto
mānena matto paripuṇṇamānī
sayam eva sāmaṃ manasābhisitto,
diṭṭhī hi sā tassa tathā samattā.890Parassa ce hi vacasā nihīno,
tumo sahā hoti nihīnapañño:
atha ce sayaṃ vedagū hoti dhīro,
na koci bālo samaṇesu atthi.891‘Aññaṃ ito yābhivadanti dhammaṃ,
aparaddhā suddhim akevalīno,’
evaṃ hi tithyā puthuso vadanti,
sandiṭṭhirāgena *hi te* ‘bhirattā.892‘Idh’ eva suddhi’ iti vādiyanti,
nāññesu dhammesu visuddhim āhu,
evam pi tithyā puthuso niviṭṭhā
sakāyane tattha daḷhaṃ vadānā.893Sakāyane cāpi daḷhaṃ vadāno
kam ettha ‘bālo’ ti paraṃ daheyya:
sayam eva so medhakaṃ āvaheyya
paraṃ vadaṃ bālam asuddhidhammaṃ.894Vinicchaye ṭhatvā sayaṃ pamāya
uddhaṃ so lokasmiṃ vivādam eti,
hitvāna sabbāni vinicchayāni
na medhakaṃ kurute jantu loke” ti
* 각주
1. | ↑ | “결집”이라고 옮긴 팔리어 “viyūha”는 군대가 ‘집결’하거나 게송이 ‘결집’된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 경은 질문자와 답변자의 문답을 모아놓은 게송이라는 뜻에서 “결집경”이라는 제목을 붙인 듯하다. 이 해석이 옳다면, 질문자는 한 사람이 아니라 두어 사람인데 다만 각 문답이 같은 주제로 엮을 만하기에 모아놓은 것일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