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한 생에만 허락된 것, 이 아름다운 것 — 좌식생활 소감

까닭 모르게 양쪽 어깨가 뻐근하고 기침이 쿨룩쿨룩 나왔다. 평소 심히 앓아본 적도 없고, 아무 물이나 마셔도 배탈 한번 나지 않은 제법 강한 체질이어서 내심 건강에는 자신이 있다고 믿었는데 슬슬 고장이 나는가 싶어 슬그머니 겁이 나기도 했다. 만나는 사람마다 진단이나 처방도 가지각색이었다. 잠자는 자세가 잘못되었다는 사람, 불규칙한 끼니에 두 주전자도 더 마셔대는 커피가 문제라는 사람, 구름과자를 너무 많이 먹어서라는 사람, 거기다가 하루 종일 문 밖에 나가는 일도 없이 밤낮으로 그 컴퓨터 앞에 앉아 있으니 무슨 플라스틱이라고 배겨날 길이 있겠나는 사람 . . .

— 재연스님, 「방랑시작」(문학동네 2006) 153면

재연스님의 「방랑시작」을 읽던 아내가 부랴부랴 달려와서 이 대목을 들이댔다. 재연스님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평소에 “까닭 모르게 양쪽 어깨가 뻐근하고 기침이 쿨룩쿨룩” 나오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딱히 원인으로 짚을 만한 것도 없고 어찌할 도리도 없어, 그저 고질이겠거니 생각하고 있었다. 아니면 젊은 시절 어지간히 몸관리를 안한 탓이리라, 그렇게 연민하고 지내는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어깨가 뻐근한 것이야 간혹 풀어주면 된다쳐도, 잔기침이 자주 나오는 것은 여간 신경 쓰이는 일이 아니었다.

그러다가 재연스님의 글을 읽어보니 원인은 책상 위에 놓인 컴퓨터 자판의 높이 문제였다. 그분의 판단에 따르면, 자판의 높이는 팔꿈치보다 한 치쯤 낮을 때 가장 편하며, 그보다 높을 때는 자판에 올린 손의 높이에 따라 팔과 어깨, 가슴에 느껴지는 압박감이 달라진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목재상에서 널빤지를 구해다가 책상 아래에 선반을 지르고 거기에 자판을 내려놓은 뒤로는, 뻐근하던 어깨가 훨씬 부드러워지고 기침도 사라졌다는 것이었다.
 

언젠가는 좌식생활을 해보고 싶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몸에 배긴 책상생활을 물리고 좌식생활을 하기에는 두려움이 컸다. 과연 내가 평상시에 허리를 꼿꼿이 세우는 자세를 견지할 수 있을까? 좌식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책상생활로 돌아온다면 이 또한 무슨 공염불인가? 불현듯 좌식생활에 대한 선망이 떠오를 때마다 그런 두려움이 커서 막상 실행에 옮기지는 못했다. 나중에 서울살이를 마감하고 시골로 내려간다면 한옥 같은 생활을 할 때나 좌식생활을 해볼 수 있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만 품고 있었다.

그러나 재연스님의 글이 당장에 전환의 계기가 되었다. 책상 아래에 자판을 놓을 선반을 지르기보다는 아예 책상을 물리고 좌식생활을 해보기로 했다. 그날 바로 책상을 해체하고 서재에 툇마루를 들였다. 그리고 보료를 깔고 앉아서 툇마루 위에 놓인 자판에 손을 올려보니 팔꿈치보다 한 치쯤 낮게 위치했다. 그리고 이렇게 좌식생활을 한 지도 어언 반 년이 넘었다.

과연 재연스님의 경험 그대로였다. 어깨가 뻐근하던 게 완연히 사라졌다. 고질인 줄 알았던 잔기침도 사라졌다. 그리고 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좌식생활을 견뎌낼 수 있을까 하는 걱정도 깨끗이 사라졌다. 평소에 반가부좌 자세를 선호하던 때문이었을까?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작업을 하거나 글을 읽는 것은 전혀 불편함이 없었다.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는 것보다 오히려 간결하고 자유로운 느낌이었다. 의자에 앉아 있을 때는 뭔가에 답답하게 갇혀 있는 기분이라면, 좌식은 주변의 공간과 공기를 자유롭게 호흡하는 기분이었다. 그리고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는 데 의자가 없어도 되는, 한 단계 더 홀가분한 삶으로 도약한 기분!
 

건강할 때는 몸의 존재를 잊고 산다. 몸의 존재감은 아플 때 드러난다. 우리는 몸이 아플 때까지, 몸이 질병을 부여잡고 존재감을 드러낼 때까지 경시하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일종의 학대이지만, 정신 본위의 현대인은 그것을 학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 정체성을 정신이나 영혼 정도로 국한하고, 몸은 그 정신이나 영혼을 보조하는 시종이나 도구로만 취급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몸은 “나”가 아니라 “내 몸”, “나의 몸”, “나의 것”, “나의 소유”이다. 이것이 너무나 당연시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 표현이 옳지 않다고 생각해도 이 표현을 쓸 수밖에 없다.

어째서 몸을 “나의 소유물”로 취급하는 것일까? 그 밑바탕에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깔려있다. 육체는 시간과 더불어 노쇠하고 끝내는 썩어 없어지기 때문에 그것을 “나”라고 규정하는 한, 나라는 존재는 죽음과 무상을 벗어날 길이 없다. 영혼과 육체를 모두 “나”라고 규정한다면 죽음과 더불어 나는 더 이상 존재할 수 없다. 그러므로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육체를 “나의 소유물”, 즉 “타자”로 규정해야 한다. 그래야 정신, 마음, 혹은 영혼은 육체의 소멸과 무관하게 영속한다는 믿음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육체를 “나”가 아니라고 규정하는 근본적인 에너지는 존재에 대한 욕망이며, 죽음에 대한 공포이다. 육체를 타자화하는 것이야말로 무수한 괴로움을 야기하는 자기 정체성의 왜곡과 축소이지만, 그러지 않고서는 죽음에 대한 공포를 벗어날 길이 없기 때문에 기꺼이 자기 정체성을 축소시키고 괴로움의 쳇바퀴를 수용한다.

자기 정체성의 축소는 이 단계에서 그치지 않고 더 나아간다. 자기 몸 뿐만 아니라 자기 안의 부정적인 면까지 타자화시키고 타인의 책임이라고 규정한다. 가령, 사람들은 “너 때문에 화났다”라고 말하지, “나는 너에게 화를 낸다”고 말하지 않는다. 자기 안의 부정적인 에너지를 타자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세간법이다. 세간법 안에서의 해결책은 증상만 치료하는 것일 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화를 낸 것을 두고 화해한들, 자기 안의 부정적인 에너지는 늘 타자화될 준비를 하고 무의식에 잠복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간법의 구조를 흔드는 첫걸음은 자기 안의 부정적인 면들을 “나”라고 수용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자기 몸도 “나”라고 수용하는 것이다. 이는 곧 몸을 귀하고 소중하게 대한다는 말이다. 이것만으로도 세간에서의 수많은 괴로움은 상당 부분 치유될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의 몸은 그 자체로 평화롭다. 그것은 그 어떤 보석보다도 귀한 것이다. 너의 몸을 소중하게 여겨라, 그것은 이번 한 생에만 너의 것이니. 사람의 몸은 대단히 얻기 어려운 것이지만 잃기는 쉽다. 모든 세간의 것들은 하늘의 번개처럼 찰나의 것이니, 너는 이번 생을 한 방울의 작은 빗방울로, 나자마자 곧 사라지는 아름다운 것으로 알아야 한다.

— 총카파

좌식생활을 반년 이상 하고 보니, 몸이 그동안 얼마나 불편한 공간에서 고생을 했는지 알겠다. 모든 사람에게 좌식생활이 편한 것은 아니겠지만, 적어도 나는 새로운 해방를 맞는 기분이다. 허리를 꼿꼿이 세우고 앉아있다가 쉴 만한 때다 싶으면 잠시 보료 위에 누워본다. 이완을 하면서 몸 구석구석을 살펴본다. 어느 곳이 편하고 어느 곳이 굳어 있는가, 어느 곳이 흐르고 어느 곳이 막혀 있는가.

이번 한 생에만 나에게 허락된 것, 이 아름다운 것, 너는 어찌 그리 오랜 세월 아무 불평없이 속박되어 살아왔느냐? 이제 편히 쉬어라, 배고프면 간소한 음식을 먹고 목마르면 차를 마시거라. 그리고 일어나고 싶으면 일어나고, 눕고 싶으면 눕고, 졸리면 자고, 걷고 싶으면 북한산 숲으로 들거라. 거기 수많은 수많은 생애동안 너와 더불어 살아온, 너와 다름없는 벗들이 있느니, . . .

이번 한 생에만 허락된 것, 이 아름다운 것 — 좌식생활 소감”에 대한 12개의 댓글

  • 고싱가님 새 글을 보니 몹시 반갑습니다. 몇 년 전부터 이곳에 들고나며 그저 문자향에 취했습니다.

    새해 초 제 “내면에서 꿈틀거리고 있는 그 뭔가를 폭발”시켰다고 감히 확신할만한 분을 보았습니다. 재가불자시고 과학자이십니다. 저 바닥이 움직인 건 처음이지 싶습니다. 불교에 다가가야 하지 않나 하는 예감이 있습니다. 댓글에서 고싱가님께서 말씀해주신 길을 천천히 흉내내볼까 합니다.

    깊이 오래 서양철학을 공부하시고 나서 불교를 만나신 고싱가님께서 서양철학 혹은 서양학문의 가치를 어떻게 보시는지 조심스럽게 여쭙습니다. 몰라도 상관없는 것인지 모르는 게 좋은 것인지 깨닫는 데 도움이 되는지 방해가 되는지 깨달은 후에는 자유롭게 다룰 수 있기에 깨닫기 전에 알아두는 것이 좋은지 깨달은 후에 공부하는 게 나은 것인지 혹은 달리 어떠한지 많이 궁금합니다. 저는 고싱가님의 글에 지의 그림자가 없어도 좋았겠지만 있어서 더 좋은데요.

    이런 공간을 꾸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들어올 때마다 풍성한 글들을 거듭 읽으면서도 새 글 소식이 없어서 조금은 허전했는데 새 글을 보니 어찌나 좋은지요.

    윤진
  • 댓글에서=>만공스님의 참선법 댓글에서

    윤진
  • 윤진님, 반갑습니다.

    서양인문학 공부도 불교공부에 나름 유용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서양인문학의 사고에 깊이 침윤된 상태에서 불교 공부를 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동양학을 해도 생각의 논리에 깊이 지배당한 사람도 역시 불교의 종지를 맛보기는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요컨대, 어느 학문을 하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실제 수행시 논리적 사고의 틀을 얼마나 벗어날 수 있느냐가 관건이겠지요. 간화선 수행현장에서 선체험을 하기 가장 어려운 부류가 바로 학자들이라고 하는데, 이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학자들은 직업근성을 버리지 못하고 머리로 해결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수행은 머리가 아닌 가슴과 마음으로 하는 것인데, 사실 머리에서 가슴으로 내려오는 길이 가장 어렵고 힘든 길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줄기차게 머리고 하고 있으면서도 가슴으로 하고 있다고 착각합니다.

    깨닫고 나면 분야를 막론하고 이제까지 공부했던 모든 것이 도움이 될 수밖에 없겠죠. 가령 서양인문학을 공부했다면, 논증적이고 고증적인 자세, 치밀하고 분석적인 태도가 깨달음 이후 공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깨달았다고 해서 모두가 법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법을 가르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그 사람이 얼마나 큰 안목을 성취했느냐에 달려 있겠습니다만, 깨달은 이후 공부내용에 크게 좌우되는 한편, 깨닫기 전에 무엇을 공부했느냐에도 크게 좌우됩니다.

    불교공부를 함에 있어서 의식이 골고루 성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안목만 수승하고 기타 인적 관계라든가 책읽기에 서투른 사람은 광범한 불교전통의 가르침을 소화해서 가르치기 어려우며, 대기설법에 취약할 수밖에 없음은 당연합니다. 자칫 외골수나 괴각이 될 가능성이 있지요.

    부처님께서 출가하시기 전에 한 나라의 왕자로서 받았던 교육을 돌아보면, 부처님이 만세에 인천의 스승이 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보일 것입니다. 분야를 떠나 관심가는 대로 공부하는 것은 나중에라도 널리 유익한 살림살이가 되리라고 봅니다.

    현대심리학의 성과를 일별해보면, 불교적 수행전통을 심리학에 전폭적으로 수용한 사례(특히 트랜스퍼스널 심리학)를 확인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는 심리학과 불교의 시대가 되지 않겠나 싶을 정도로 불교의 수행법들이 심리학에 녹아들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분야를 막론하고 깨닫기 전이나 깨달은 이후나 열심히 공부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깨달음은 일상을 떠나 성립할 수 없습니다. 부지런히 공부하고 일상을 건강하게 살아가면서 수행하되, 언젠가는 한번 일정기간 집중적으로 몰입하여 수행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때 그 순간만큼은 이제까지 배웠던 학문적인 사고와 내용물을 온통 쓰레기로 간주하고서 수행할 수 있는 커다란 용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책 한 권 추천합니다. [틱낫한 스님의 사랑법]입니다. 읽기 쉬운 글이라고 하여 만만한 수준인 것은 아니니 깊이 음미하면서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가시는 걸음마다 연꽃 피어나소서!

    고싱가
  • 댓글을 쓰고 나서 후회했습니다. 스스로 충분히 생각했어야 했는데 조급하게 예의 없이 여쭌 것이 마음에 걸렸습니다. 고싱가님께서 긴 답글을 달아주신 것을 확인했으나 왜 그런지 차마 읽을 수가 없었습니다. 출력을 해서 파일에 넣어 들고 다녔는데 계속 못 보겠어서 그냥 들고만 다녔습니다. 어제 용기를 내어 읽었습니다. 읽어내려가기가 힘들었으나 다 읽었습니다. 거친 질문이었는데 귀한 답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줄 한 줄 거듭 읽으며 새기겠습니다. 늦게 인사드려 많이 죄송합니다. 고맙습니다. [틱낫한 스님의 사랑법] 꼭 읽어볼게요.

    윤진
  • 윤진님의 댓글은 아주 정중한 질문인데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이기도 하고요. 저한테는 유익한 생각거리가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선불교 수행전통이 우세한지라 그에 따른 강점도 있는 반면 단점 역시 만만치 않다고 봅니다. 특히 책읽기나 경전 읽기에 자칫 소홀히 할 수 있는 우를 범하기 십상입니다.

    역사 속의 모든 수행법은 각기 장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어느 한 전통만이 수승하다고 간주하고 다른 수행전통은 백안시하는 것은 수행법이 하나의 방편이라는 사실을 망각한 데서 비롯한 것이 아닐까요? 특히 오늘날과 같이 정보가 광범위하게 소통되는 시대에는 현대인의 사고구조에 맞는 수행법이 절실하기도 합니다. 책읽기 자체가 수행이 될 수도 있음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지요.

    틱낫한 스님의 저서는 책읽기 자체가 곧 수행이 되는 드물고도 아름다운 글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틱낫한 스님의 사랑법]이 마음에 드신다면, [마음에는 평화 얼굴에는 미소]도 적극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틱낫한 스님의 여러 저술에서 엮은 것인데, 윤진님의 조심스런 성정에 특별히 잘 어울릴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아! 지적인 분위기를 좋아하신다면 조금 가볍게 여겨질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 저도 틱낫한 스님의 글들이 너무 쉽고, 또 어떤 면에서 보면 조금 유치한 것은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습니다만, 이제 배움이 조금 더 깊어지고 보니, 이보다 훌륭하고 이보다 깊은 글들이 없습니다. 글 읽는 순간순간이 곧 깨어있는 순간이 됩니다. 궁극의 세계를 가장 쉬운 언어로 표현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스님의 글에는 부처님의 가르침의 정수가 담겨 있으므로, 마음으로 읽어야 합니다. 예술작품이 가슴에 스며들듯이, 가랑비가 온몸에 젖어들듯이, 그렇게요. 옛 선각자들은 이를 두고 법우(法雨)라고 표현했지요.

    읽으신 책들이 마음에 드셨다면 나중에라도 그 기쁨을 저희에게 전해 주십시오. 그러면 다른 분들께도 더욱더 그 책을 권할 수 있을 테니까요. 고맙습니다.

    고싱가
  • 좋은 책이면 어렵든 쉽든 괜찮습니다. 어려우면 이해 못 하는 게 많겠지만 일단 이해할 수 있는 것만 하고 넘어간다 편하게 생각하려 하구요. 쉬운데 깊으면 이건 좀 두려운데요. 벌써 읽어도 되는 건지.[틱낫한 스님의 사랑법] 검색해봤더니 절판이라 그 책의 구판이라 소개되어 있는 [첫사랑은 맨 처음 사랑이 아니다]를 중고로 주문했습니다.[마음에는 평화 얼굴에는 미소]도 천천히 읽어보겠습니다.
    꾸벅~

    윤진
  • 저는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입니다. 님의 사이트는 제가 일하는 일과중 업무능률을 높이는 좋은(감상용) 사이트입니다.

    다만 곡들을 한곡씩 나눠서 듣기 보다는 다수의 곡을 연결해서
    들을 수 있으면 더욱 좋겠습니다.

    좋은 음악을 모아서 운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ay
  • 외람된 질문입니다만, 지금도 건재하신거지요?
    오랫동안 글이 없는 것으로 나와 있네요.
    지난 글들을 오늘 처음 들어와서 두루 돌아보고
    큰 느낌이 있습니다.
    음악을 연주가 순으로 모아놓으신 솜씨도 감동.
    고싱가님과 만나게 된 것을 감사할 뿐입니다.
    인연따라 살아간다는 것을 실감하게됩니다.
    저는 인연에 의해 아내와 교회에 다니고 있습니다.
    객체화하기 시작하면서 내 나름을 잊어가게
    되었다는 이분법의 본질도 이 사이트에서 다시
    기억하게 되었습니다.
    척박한 삶에서, 너무 여유있고 간절한 깨달음의
    소망을 읽습니다.
    거듭 감사드립니다.
    건승하시고, 일상을 올려주어, 건재를 알려주시면
    같은 하늘에 살아 있는 것에 기쁠 것 같습니다.
    샬롬.

    everthing
  •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습니다.
    다만 글을 쓰고 있지 않을 뿐입니다.
    지금은 어린아이를 키우는 중이라 혼자 있는 시간을 내기가 어렵고,
    그동안 배운 바를 푹 익히는 세월도 필요합니다.

    고싱가
  • 저도 어깨가 뻐근하고 기침이 나와, 사무실에서 오래 글을 읽었습니다. 저도 자세를 바꾸어야 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도 종일 책상에 앉아 있는 터라.

    그리고 총카파의 인용문은 저의 많은 것들을 반성하게 하였습니다. 인용문이 나온 책은 ‘깨달음에 이르는 길’인가요? 아니면 다른 책인지요?

    지하련
  • 제가 좌식생활한 지 벌써 한 해가 훨씬 지났습니다만, 어깨가 뻐근하고 잔기침이 나오는 일은 이제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확실히 컴퓨터 자판의 높이 때문에 생긴 고질이었습니다.

    총카파의 인용문은 어느 책에서 불완전한 형태의 인용문으로 접했다가 영어로 어찌어찌 검색해서 찾아 번역한 것입니다. 거기에서도 출전은 없었구요. 제가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필요한 부분들만 읽어보았는데 아직 그 대목을 발견하지는 못했습니다.

    고싱가
  • 영어 번역문은 이렇습니다:

    The human body, at peace with itself,
    Is more precious then the rarest gem.
    Cherish your body, it is yours this one time only.
    The human form is won with difficulty,
    It is easy to lose.
    All worldly things are brief,
    Like lightning in the sky;
    This life you must know
    As the tiny splash of a raindrop;
    A thing of beauty that disappears
    Even as it comes into being.
    Therefore set your goal and
    Make use of every day and night
    To achieve it.

    고싱가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