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29일, 부슬비 내리는 날의 북한산 숲. 노키아 5800으로 촬영.
김홍도의 소림명월도를 완상하면서 김홍도는 우리나라 11월과 2월의 산하를 좋아했을 것같다는 생각을 가졌다. 늦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절과 늦겨울에서 초봄으로 접어드는 시절의 산하. 예컨대, 오늘처럼 따스한 늦가을/초겨울에 부슬비가 내리는 날의 산하. 이 때 우리나라 산하의 나무들은 처처에서 허름하면서도 잔잔한 아름다움을 드러낸다. 그 아름다움은 어느 순간 갑자기 발견되는 아름다움이어서, 마치 추풍낙엽과 같은 율동감이 느껴진다. 우수수 떨어지는 낙엽처럼, 우수수 드러나는 아름다움.
11월 29일, 오늘처럼 숲이 촉촉한 비에 젖을 때면 김홍도가 사랑했고 내가 사랑하는 풍경이 드러난다. 봄날의 앳띤 성장도 아니요, 여름날의 풍요도 아니요, 가을날의 만산홍엽도 아니요, 겨울날의 은산도 아니다. 그렇지만, 찬란한 슬픔처럼, 오늘 풍경은 지극히 조용하게 그 찬란함과 그 허름함을 드러낸다. 나무들은 자기만의 색깔을 강하게 주장하지 못하는 생애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아름다움도 지나가리라. 툭 툭, 느리게 느리게 떨어지는 빗방울 소리와 함께 모든 것이 지나가리라. “순간이여, 멈추어라. 너는 정말 아름답구나”(파우스트)와 같은 눈물어린 호소도 소용 없으리. — 세간의 아름다움과 애잔함은 바로 이와 같은 것이어서, 숱한 감동도 있고 숱한 기쁨도 있고 숱한 설레임도 있는 법. 그러나 거기에 의존하지 않으리. 그러므로 순간이여, 그대는 흘러라. 순간인 나여, 그대는 멈추지 말고 흘러라.
나도 모르게 미소가 번지네요.^^ 아름다움이 우리를 구원한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하지만 이 미소도 아름다움도 멈출 수는 없겠지요. 11월이 2월이 지나가야 하는 것처럼…멈추게 하고 싶은 욕망을 경계합니다.
선생님 말씀을 듣고보니, 흘려보내겠다는 욕망도 경계해야겠네요.
겨울산, 겨울비에 젖은 산은 왠지 스산하고 마음을 시리게 한다고 생각했는데…. 다른분의 생각으로 다시 겨울산을 봅니다.
아름다움에 대한 것도 때로는 내 편견속에서 갇히는 건 아닌가 하구요…ㅎㅎㅎ
오
밖에서 바라보면 스산한데 막상 안으로 들어가면 따뜻한 게 겨울산인 듯합니다. 생태학적으로 정의하면, 더위 때는 외부보다 -5도 낮고 추위 때는 외부보다 +5도 높은 게 숲이라고 하더군요. 더울 때도 추울 때도 숲으로 피신하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