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의 자유

모차르트에 관한 짧은 글들 중에서 모차르트 음악에 관하여 깊은 식견을 가진 것 중의 하나로, 개신교 신학자 칼 바르트의 기념축제 인사말, “모차르트의 자유”를 꼽고 싶습니다. 분도출판사 소책자 68권 째는 바로 이 칼 바르트의 강연과 기고문 네 편을 모아 번역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이종한 역)인데, 이 책에 그 인사말이 실려 있습니다.

사실 칼 바르트의 신학 경향상 모차르트를 좋아한다는 것은 언뜻 납득하기가 꽤 어렵습니다만, “모차르트의 자유”를 읽고 나면 그가 보통내기로 모차르트를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하기야 칼 바르트의 신학 자체보다는 그의 파란만장한 삶을 생각해 보면 그가 모차르트를 그토록 좋아하고 또 그토록 깊이 있게 이해하고 있다는 점이 그리 놀랍지는 않을 것같습니다.

그리고 국내에 번역된 또 다른 신학자의 모차르트 관련 책이 있는데요, 가톨릭 신학자 한스 큉의 것입니다. 그의 신학 경향상 어쩐지 모차르트와 잘 어울릴 것도 같아 그 책을 샀습니다. 읽다가 포기했습니다. 과연 그렇게 모차르트를 모르는 상태에서 글을 써도 되는 것인지 의아하더군요. 번역 또한 엉망이었습니다.

따라서, 한스 큉은 더 이상 이야기하고 싶지도 않고요, 칼 바르트의 “모차르트의 자유” 중에서 몇 대목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한 번 음미해 보시기 바랍니다.

 

칼 바르트,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에서

“마지막으로 꼭 언급해야 할 것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모차르트적인 중심Mitte에 관한 이야기인데, 이것은 예컨대 위대한 신학자 슐라이어마허가 말하는―균형과 중립, 그리하여 결국은 무차별을 의미하는―중심같은 것이 아닙니다. 모차르트적인 중심 안에서 발생하는 것은 오히려 균형과 조화의 절묘한 전복, 일종의 전환Wendung입니다. 이 전환 속에서 빛은 증가하고 그림자는, 사라지지는 않지만, 줄어듭니다. 기쁨이 슬픔을, 없애버리지는 않지만, 능가합니다. 긍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부정보다 강렬하게 울려퍼집니다. 모차르트의 삶이 겪은 중대하고 어두운 체험들과 작고 밝은 체험들 사이의 관계가 전도Umkehrung되는 것에 유념해야 합니다! 우리는 “마술피리” 끝부분에서 ‘태양의 눈부신 빛이 밤을 쫓아버린다’라는 노래를 듣습니다. 이 힘겨루기Spiel는 언제나 계속될 수 있고 또 계속되어야 합니다. 혹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될 수 있고 또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것은 어딘가 저 높은 혹은 깊은 곳에서 겨루는, 그리고 이미 이긴 시합입니다. 바로 이 점이 모차르트의 음악에 방향과 특성을 부여합니다. 우리는 모차르트의 음악에서 힘의 균형, 말하자면 불확실성과 우유부단함을 결코 찾아보지 못할 것입니다. 이러한 사정은 그의 오페라와 관현악곡들에서도 마차가지이며, 종교적인 작품들에서는 더욱더 그렇습니다. 그토록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로 시작하는 ‘키리에’나 ‘미세레레’도 그 곡에서 탄원하는 자비가 오래 전에 베풀어졌다는 굳은 신뢰에 의해 지탱되고 있지 않습니까?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여, 찬미받으소서!’ 모차르트의 곡에서 그분은 이미 오셨습니다. ‘우리에게 평화를 주소서!’ 모차르트에게 그 기도는, 온갖 시련에도 불구하고, 이미 성취된 청원입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모차르트의 교회음악은, 흔히 내세워지는 온갖 주장과는 달리, 참으로 영적인 음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모차르트는 결코 한탄하지 않았고, 하느님을 원망하지도 않았습니다. 사실 그의 처지는 그러고도 남을 형편이었지만 말입니다. 오히려 그는 언제나 듣는 사람에게 위로를 주는 상쾌하고 멋진 전환을 이루어 냈습니다. 감히 말하거니와, 바로 이것이 모차르트의 자유의 비밀이요, 우리가 처음에 물었던 그의 특별함의 본질인 것 같습니다.”

 

“모차르트와 괴테. 모차르트가 괴테를 읽지 않았다는 것은 거의 확실합니다. ‘제비꽃’이라는 가곡을 작곡했으나 그것이 괴테의 시인 줄은 몰랐습니다. 그리고 괴테도 자신의 시가 작곡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괴테는―무슨 생각으로 그랬는지는 애석하게도 상세히 알 수 없으나―모차르트 음악의 “비길 데 없음’에 관해 이야기했고, 그를 라파엘로, 셰익스피어와 동렬로 대접했으며, 자신의 ‘파우스트’를 음악으로 만들 수 있는 사람은 모차르트뿐이라고 믿었습니다. 이 두 사람이 만났더라면 어떤 엄청난 일이 이루어졌을까요! 저는 두 사람을 비교한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볼 때,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까닭은, 모차르트적인 중심은 아무튼 괴테적인 전일성Alleinheit과 혼동되어서는 안되며, 또 모차르트에게 그토록 특징적인 대립되는 두 가지 삶의 측면들의 단호한 불균형 그리고 그 빛나는 전환, 말하자면 바로 “모차르트의 자유”에 상응하는 것을, 제가 제대로 읽었다면, 괴테에게서는 찾아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모차르트와 위대한 화가들. 괴테의 전철을 따라, 여러 사람이 모차르트의 음악을 라파엘로의 그림과 비교했습니다. 그러나 꼭 비교를 해야 한다면, 저는 산드로 보티첼리의 그림과 비교하는 것이 더욱 걸맞으리라 생각합니다. 보티첼리의 풍부하면서도 언제나 고요히 퍼져나가며 동시에 그토록 선명한 필치와, 너무나 분명히 드러나는 관계와 한계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간의 눈에 나타나는 헤아리기 어려운 깨달음, 물음, 대답을 떠올려 볼 일입니다. 보티첼리의 그림 속 인물들의 눈이 보았던 것을, 모차르트는 자신의 위대한 자유 안에서 들었습니다. 그리고 바로 그 위대한 자유에 터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놀이를 할 수 있었습니다.”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