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물을 뜨러 가는 도중에 거치게 되는 북한산 오솔길은 내게는 소중하고 정든 길이다. 나는 이 작은 길을 사랑한다. 인적이 없는 조붓한 길, 바람이 스치고 나뭇잎들이 흔들리고 시냇물 소리, 새 소리가 들리는 이 길을 내가 밟을 수 있다는 사실이 언제나 고맙다. 여름에는 무성한 초목에 덮여 있어 오솔길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더니, 잎이 떨구어지면서 서서히 제 모습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지난 여름에 처음 발견한 길이어서 이렇듯 완연히 드러난 모습은 이번 늦가을과 겨울에 처음 만나게 되었다.
지난 늦가을 풍경이다. 오솔길이 시작하는 길목에는 붉은 단풍나무 한 그루가 메마른 잎을 달고 입문 역할을 하고 있다. 작고 아름다운 나무들 아래로 돌계단이 천연히 놓여 있다. 아마 이 돌계단은 아주 먼 시절에 지금은 사라진 암자의 주인이 놓았을 것이다. 비오는 날이다. 떨어진 잎들은 촉촉하게 젖어 있고, 빛깔은 물이 오를 대로 올랐다. 낙엽을 밟을 때 바스락거리는 소리 들리고, 작은 실개울은 흐르고, 비는 고요히 내리고 있었다. 사람이 거의 다니지 않은 감추어진 길이어서 오솔길이 낙엽으로 뒤덮여 있다.
같은 장소의 이번 겨울 풍경이다. 단풍잎이 나뭇가지에서 떨어지지 않고 그대로 달려 있다. 단색조의 겨울산에서 만나는 메마른 단풍잎은 가을날의 물이 차오른 붉은 잎의 아름다움을 능가한다. 산책 길에는 카메라를 들고 다니지 않는데 마침 지난 11월에 새로 구입한 휴대폰으로 간간히 풍경을 찍어보았다.
간혹 가다 떨구어지지 않은 갈색 나뭇잎들도 만나게 되는데, 주변의 푸른 소나무와 어우러져 있으면 그 빛깔의 조화에 잠시 발길을 멈추고 말없이 바라본다. 이런 풍경은 북한산 자락으로 이사온 뒤에 비로소 처음으로 발견했다. 하긴 처음 발견한 게 어디 이것 뿐이겠는가. 비가 내리든 눈이 흩날리든 상관하지 않고 묵묵히 숲을 산책하다보면 누구나 자연스럽게 발견할 수 있는 일상 풍경이건만 이런 일상이 하나의 호사가 되고 말았으니, 도시인의 생활은 참 박복하다.
설경 속의 상록수 빛깔은 청신하다. 눈이 내린 날은 낮자란 조릿대가 더욱 맑고 푸르다. 어엿한 나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어린 소나무 한두 그루만 있어도 주변 풍경은 전적으로 새롭다. 이 청신한 기운, 이런 느낌을 뭐라 해야 할까.
목적지이다. 석간수를 뜰 수 있는 샘물이 있다. 터가 상당히 좋아 보여서 암자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짐작했었는데, 어느 날 이곳에서 만난 어느 분이 원래 이 자리에 암자가 있었다고 한다. 그럼 그렇지, 오솔길을 올라오는 돌계단이며 샘물 주위의 축대들이며 예사롭지 않은 것도 바로 암자 때문이었던 것이다.
암자터에서 바라본 앞산 풍경이다. 칼바위 능선 한 자락이 보인다. 여름에는 잎이 무성하여 전혀 보이지 않더니 늦가을부터 조금씩 조금씩 앞산 풍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겨울철에는 아쉽지 않을 정도로 큰 품의 능선이 보인다. 저녁예불 시간 즈음에 나무들이 욱여싸고 있는 이 공간에 머물며 포행을 하다보면, 어디선가 아득하게 범종소리가 들린다. 아무도 없는 곳, 깊은 산중에서 저녁 어스름에 듣는 저녁 종소리는 선경이다.
제주에서 5일을 살고 왔어요. 수영은 죽기 전에 제주에 와서 살아야지, 결심(?)했다.하고 저 또한 많은 매력을 느꼈지요. 천천히 ‘김영갑갤러리’랑 ‘섶섬이 보이는 이중섭’이랑 보고 왔지요. 마라도도 가고 올레길도 좀 걷고 중산간의 바람도 억새속에서 만나고 왔지요. 현선생집은 어디쯤일까… 더듬어도 봤지요. 돌아오니 동백꽃이 두 송이 피어있네요. 제주에서 아쉽게 헤어진 꽃이 베란다에… ^^
제주도에 다녀오셨군요. 좋으셨겠습니다. 제주는 바람 부는 땅이어서 그런지 하늘이며 바다며 산이며 오름이며 황무지며 억새며 돌담이며 방풍림이며 아무튼 뭐든지 제 눈에는 색감이 강렬했습니다. 맵싼 바람이 티끌 먼지를 쓸어간 때문이겠지요. 강요배 선생의 그림에서 보이는 강렬한 색상이 괜한 것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오솔길이 참 정겹게 느껴집니다. 마음도 오솔길도 오고가야지 길이 난다는 말이 정말 맞는 말인것 같으네요.ㅎㅎㅎㅎ
복잡한 서울인줄만 알았는데 고싱가님이 석간수를 길으러 가는 오솔길은 차마고도만큼이나 한적하고 청량해보입니다.
아직은 겨울의 한가운데에 있지만 머지 않아 나즈막한 능선으로 피어날 산벚꽃을 그려보면서…
명산을 동네 산으로 두면 좋은 게(명산을 동네 산이라고 하는 게 좀 이상하지만요), 아무리 등산객들이 많아도 거의 아무도 만나지 않는 길, 말 그대로 숨어 있는 오솔길을 산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동네 사람이 아니면 두려워서 그 길로 들어서지 못하지요.
숨은 오솔길로 들어서면 아무리 가까운 거리에 있어도 산이 정말로 깊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북한산은 언제나 저 혼자 산책하는 우리집 숲이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