桃花雨後零落下 染得一溪流水紅
복숭아꽃이 비 온 뒤에 떨어지는데
계곡 흐르는 물이 붉게 물들었네.도화꽃이 언덕 위에 붉게 피었는데, 비가 와서 싸-악 떨어졌다 이 말이야. 도화꽃이 싸-악 떨어져서 개울이 가득 붉은 물결이 흘러가더라. 개울 가득하게 흐르는 물에 이 복사꽃이 뻘겋게 물들어야만 해제더라 이 말이야!
— 원담스님의 무자년 동안거 해제법어 중에서
안거 해제 때마다 불교계 신문에 발표되는 여러 총림의 해제법어들을 두루 읽어보는 편인데, 내게는 언제나 원담스님의 해제법어가 바로 가까이에서 들렸다. 감동적이었다.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은 시인처럼 타고 나는 것이어서 깨달았다고 하여 모두가 스승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는 아라한이 되어 저편으로 아예 건너가 그 누구도 알아볼 수 없는 완벽한 일상인이 되어 생을 마감할 수도 있는 법이고, 누군가는 보살이 되어 남을 향해 흘러넘쳐 빛을 내뿜을 수도 있는 법이다.
그러나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은 보살 중에서도 시인처럼 타고나야 하고 당대의 교양을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 스승이야말로 진정한 예술가라고 할 수 있다. 스승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그토록 자애롭고 품위 있고 산들바람 같은 것도 어쩌면 한 국가의 왕자로서 최고급의 교육을 받았기 때문인 지도 모른다. «몽산법어»에서도, 깨달은 이후에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지 말고 불교·유교·도교의 온갖 서적들을 섭렵하며 온전히 역량을 기르라고 가르치고 있다.
상대방의 언어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 언어들이 집념으로 구축한 세계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 언어들의 난해한 구조에 얽혀든 사람들의 속박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역량을 기른다는 것은 이렇게 상대방의 정신적 난맥상, 상대방의 정신적 집념을, 높은 위치의 시선으로 온전히 파악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원담스님의 해제법어가 언제나 가까이 다가오길래 얼마 전 동안거 해제법어 이후에 원담스님의 법문집 «덕숭산법향»을 구입하였다. 해제법어가 하도 깨끗하게 다가오니, 과연 어떤 분일까 궁금했던 것이다. 그런데 지난 밤에 원담스님께서 입적하셨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제는 더 이상 이 시인의 시를 만나지 못하는구나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하다.
春光到處無彼此 桃紅梨白薔薇紫
봄빛이 닿는 곳엔 저쪽 이쪽이 없어
복사꽃은 붉고 배꽃은 희고 장미는 붉어라— «덕숭산법향»(518)
지난 해에 태고보우 스님의 유적지를 찾아 용문산을 가던 길에 나무 한 그루가 아름다워 차를 멈추고 계곡가의 나무에 다가갔다. 산돌배나무였다. 산들바람에 흰꽃이 눈부시게 흩날리던, 개울 가득 그 흰 꽃잎이 낭자하던, 그날. 흰 꽃잎이여, 오늘 하루 하늘 가득 낭자하시라.
좋은 시 잘 읽었습니다. 아침녘에 깨끗한 시 한 편이네요. 그런데, 장미가 자줏빛인가요?
옛 사람들의 빛깔에 대한 어휘는 오늘날의 감각과 좀 다른 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자주빛 장미는 흑장미를 두고 말한 것은 아닐까요? 하긴 흑장미도 검은 색이 아니잖아요^^
봄…
거기에 또 꽃…
더 바랄게 없는 계절이 다가오네요.
선운사 동백꽃, 섬진강 매화, 그리고 산능선따라 눈물처럼 번져가는 산벚꽃들
그 꽃들때문에 매년 사월이면 고국으로 향하게 되곤 하지요.
올해는 산벚꽃을 못보게 된다는 사실이 사뭇 슬프기만 하네요.
우리나라 산천을 좋아하시면서 외국에 거주하기란 참 쉽지 않을 듯하군요. 너절한 듯하면서도 정감 어린 우리나라 산천의 봄은 사람을 부풀게 하는 힘이 있어요.
결국
우리나라의 산천이라는 것도
불가에서 들을 수 있는 풍경소리와 닮아있기에
조용한 나절이면 이곳에 발길이 머물곤 하지요.
그렇다고 종교가 불교인적은 한번도 없지만 말입니다.
글이란 때로 내가 직접 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 섬세하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불러 일어킬 수도 있으니까요……..
왜인지 모르나, 갑자기 이 시가 떠오르네요:
“어제는 아무하고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두 번 식당에 갔지만 우리 말을 아는 사람을 만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저녁때 책을 읽다가 갑자기 사라져버린 나를 부르며 소스라쳐 일어났다 그대여, 그대가 없다면 일찍이 나도 없는 것이다”
– 이성복 「높은 나무 흰 꽃들은 燈을 세우고 13」
이성복 시인의 시는 저도 좋아했는데요. 이 시를 읽어보니까 문득 김현의 일기장에 등장하는 이성복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기억이 확실한가는 모르겠으나, 이성복이 논어인가를 읽고서는 보는 눈이 달라졌다고 말하니까 김현이 동양적 사고를 회피하는 이유로 ‘이 세상 모두가 아픈데 나 홀로 건강하다고 자랑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는 식의 글귀를 일기에 썼던 듯.
은사시나무님, 저도 삼십대 중반에서야 우리나라 산천을 답사하기 시작했고 덕분에 불교도 알게 되었습니다. 머릿속의 강철같은 관념들이 거미줄처럼 하염없이 거둬지고 난 뒤 맞이했던 우리나라 산천은 그야말로 아름다운 능선의 연속이어서… 그 능선에서 뭔가가 피어나지 않으면 안될 듯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