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울 가득 붉은 물결이 흘러가더라

桃花雨後零落下 染得一溪流水紅

복숭아꽃이 비 온 뒤에 떨어지는데
계곡 흐르는 물이 붉게 물들었네.

도화꽃이 언덕 위에 붉게 피었는데, 비가 와서 싸-악 떨어졌다 이 말이야. 도화꽃이 싸-악 떨어져서 개울이 가득 붉은 물결이 흘러가더라. 개울 가득하게 흐르는 물에 이 복사꽃이 뻘겋게 물들어야만 해제더라 이 말이야!

— 원담스님의 무자년 동안거 해제법어 중에서

안거 해제 때마다 불교계 신문에 발표되는 여러 총림의 해제법어들을 두루 읽어보는 편인데, 내게는 언제나 원담스님의 해제법어가 바로 가까이에서 들렸다. 감동적이었다.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은 시인처럼 타고 나는 것이어서 깨달았다고 하여 모두가 스승이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누군가는 아라한이 되어 저편으로 아예 건너가 그 누구도 알아볼 수 없는 완벽한 일상인이 되어 생을 마감할 수도 있는 법이고, 누군가는 보살이 되어 남을 향해 흘러넘쳐 빛을 내뿜을 수도 있는 법이다.

그러나 가르칠 수 있는 스승은 보살 중에서도 시인처럼 타고나야 하고 당대의 교양을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 스승이야말로 진정한 예술가라고 할 수 있다. 스승은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그토록 자애롭고 품위 있고 산들바람 같은 것도 어쩌면 한 국가의 왕자로서 최고급의 교육을 받았기 때문인 지도 모른다. «몽산법어»에서도, 깨달은 이후에 세상에 자신을 드러내지 말고 불교·유교·도교의 온갖 서적들을 섭렵하며 온전히 역량을 기르라고 가르치고 있다.

상대방의 언어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 언어들이 집념으로 구축한 세계의 구조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그 언어들의 난해한 구조에 얽혀든 사람들의 속박의 메커니즘을 알아야 하는 것이다. 역량을 기른다는 것은 이렇게 상대방의 정신적 난맥상, 상대방의 정신적 집념을, 높은 위치의 시선으로 온전히 파악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원담스님의 해제법어가 언제나 가까이 다가오길래 얼마 전 동안거 해제법어 이후에 원담스님의 법문집 «덕숭산법향»을 구입하였다. 해제법어가 하도 깨끗하게 다가오니, 과연 어떤 분일까 궁금했던 것이다. 그런데 지난 밤에 원담스님께서 입적하셨다는 소식을 접했다. 이제는 더 이상 이 시인의 시를 만나지 못하는구나 생각하니 가슴이 먹먹하다.

春光到處無彼此 桃紅梨白薔薇紫

봄빛이 닿는 곳엔 저쪽 이쪽이 없어
복사꽃은 붉고 배꽃은 희고 장미는 붉어라

— «덕숭산법향»(518)

지난 해에 태고보우 스님의 유적지를 찾아 용문산을 가던 길에 나무 한 그루가 아름다워 차를 멈추고 계곡가의 나무에 다가갔다. 산돌배나무였다. 산들바람에 흰꽃이 눈부시게 흩날리던, 개울 가득 그 흰 꽃잎이 낭자하던, 그날. 흰 꽃잎이여, 오늘 하루 하늘 가득 낭자하시라.

개울 가득 붉은 물결이 흘러가더라”에 대한 7개의 댓글

  • 좋은 시 잘 읽었습니다. 아침녘에 깨끗한 시 한 편이네요. 그런데, 장미가 자줏빛인가요?

    엔디
  • 옛 사람들의 빛깔에 대한 어휘는 오늘날의 감각과 좀 다른 데가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 자주빛 장미는 흑장미를 두고 말한 것은 아닐까요? 하긴 흑장미도 검은 색이 아니잖아요^^

    고싱가
  • 봄…
    거기에 또 꽃…
    더 바랄게 없는 계절이 다가오네요.
    선운사 동백꽃, 섬진강 매화, 그리고 산능선따라 눈물처럼 번져가는 산벚꽃들
    그 꽃들때문에 매년 사월이면 고국으로 향하게 되곤 하지요.
    올해는 산벚꽃을 못보게 된다는 사실이 사뭇 슬프기만 하네요.

    은사시나무
  • 우리나라 산천을 좋아하시면서 외국에 거주하기란 참 쉽지 않을 듯하군요. 너절한 듯하면서도 정감 어린 우리나라 산천의 봄은 사람을 부풀게 하는 힘이 있어요.

    고싱가
  • 결국
    우리나라의 산천이라는 것도
    불가에서 들을 수 있는 풍경소리와 닮아있기에
    조용한 나절이면 이곳에 발길이 머물곤 하지요.
    그렇다고 종교가 불교인적은 한번도 없지만 말입니다.
    글이란 때로 내가 직접 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 섬세하고 아름다운 이미지를
    불러 일어킬 수도 있으니까요……..

    은사시나무
  • 왜인지 모르나, 갑자기 이 시가 떠오르네요:
    “어제는 아무하고도 이야기하지 않았다 두 번 식당에 갔지만 우리 말을 아는 사람을 만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저녁때 책을 읽다가 갑자기 사라져버린 나를 부르며 소스라쳐 일어났다 그대여, 그대가 없다면 일찍이 나도 없는 것이다”
    – 이성복 「높은 나무 흰 꽃들은 燈을 세우고 13」

    엔디
  • 이성복 시인의 시는 저도 좋아했는데요. 이 시를 읽어보니까 문득 김현의 일기장에 등장하는 이성복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기억이 확실한가는 모르겠으나, 이성복이 논어인가를 읽고서는 보는 눈이 달라졌다고 말하니까 김현이 동양적 사고를 회피하는 이유로 ‘이 세상 모두가 아픈데 나 홀로 건강하다고 자랑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는 식의 글귀를 일기에 썼던 듯.

    은사시나무님, 저도 삼십대 중반에서야 우리나라 산천을 답사하기 시작했고 덕분에 불교도 알게 되었습니다. 머릿속의 강철같은 관념들이 거미줄처럼 하염없이 거둬지고 난 뒤 맞이했던 우리나라 산천은 그야말로 아름다운 능선의 연속이어서… 그 능선에서 뭔가가 피어나지 않으면 안될 듯했어요.

    고싱가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