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타니 후미오, «부처님의 가르침»

불교경전이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이다보니 불교 초학자들이 어느 경전을 먼저 읽어야 할지 종잡기 힘들다. 불교의 세계를 알아가면서 불교의 각 종파를 알게 되고 그 종파들이 저마다 제일의 가르침으로 꼽는 소위 “소의경전”所依經典이라는 것도 아는 단계에 이르면, 무엇보다 “불교사상의 원류, 경전의 원시림”으로 평가받는 «아함경»을 반드시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함경»은 원전인 빨리어본, 그리고 한역본이 현존한다. 사실 한역본은 산스크리트어역본에서 번역한 것인데, 이 산스크리트어역본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실전되었다. 그간 국내에 번역된 «아함경»은 한역본에서 번역한 것이므로, 이것은 빨리어본-산스크리트어역본-한역본-한글역본의 삼중번역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역에 중역을 거듭하여 오역의 가능성이 많으므로, 빨리어본에서 직접 번역할 필요가 있음은 당연하다. 더구나 빨리어본과 한역본은 그 체제가 다를 뿐아니라 내용이 다른 대목이 많으므로 “경전의 원시림”에 최대한 직접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빨리어본 «아함경»을 직접 번역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가 살아 있는 이 시대에 이 역경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재가신자인 전재성 박사의 번역으로 «쌍윳따니까야»(잡아함, 총11권, 1999년~2002년), «맛지마니까야»(중아함, 총5권, 2003년)가 완역되었고, 각묵스님의 번역으로 «디가니까야»(장아함, 총3권, 2006년)가 완역되었다. 이것은 최근 육칠년 사이에 진행된 작업이다. 각묵스님은 «아함경» 완역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각묵스님 번역본의 «맛지마니까야»와 «쌍윳따니까야»도 수년 내에 출간될 것이다. 두 분의 역경사업은 필생을 건 작업이자 단독의 작업이다. 나는 두 분의 역경사업에 대하여 평할 만한 역량이 되지 않거니와, 설령 역량이 된다해도 차마 평을 하지 못할 것이다. 그것은 많은 번역자들처럼 고료를 바라고 하는 작업이 아니라 필생을 건 청빈하고 고독한 작업이며, 비록 흠결이 있다하더라도 아주 먼훗날 완결본을 위한 위대한 밑거름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은 이러한 번역본들이 모두 주석을 상세히 달고 있고 편집이 조밀하지 않아 권수가 많고 가격도 권당 3만원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빨리5부 중에서 3부만 번역된 «아함경»의 한글번역본을 모두 구입하려면 거금 57만원이나 든다. 우리가 한글로 번역된 «아함경»을 읽기 위해서 거금을 들여 모두 19권(나머지도 번역되면 더 많아질 것이다)을 구입해야 한다는 사실은 «아함경»을 읽으려는 열망을 사그러지게 하기 마련이다. 그에 비해 독역본이나 영역본의 경우 각 니까야 별로 한 권씩, 그러니까 3권만 구입하면 된다는 사실은 참 난감하기까지 하다. 물론 언젠가는 우리도 각묵스님과 전재성 박사의 공들인 번역을 밑거름으로 콤팩트한 경전을 소유할 날이 올 것이다.

그러면 현재, 한글역본의 비대함을 피하는 가운데 «아함경»을 맛볼 수는 없을까? 있다. 전재성 박사의 «오늘 부처님께 묻는다면»과 «명상수행의 바다»를 읽는 길이다. 전자는 “한 권으로 읽는 쌍윳따니까야”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 «쌍윳따니까야»에서 주요하다고 생각되는 경들만 추려놓은 것이며, 이와 동일하게 후자는 “맛지마니까야 엔솔로지”가 부제이다. 이 두 권은 독자가 전재성 박사 번역본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간단하나마 «아함경»을 맛볼 수 있는 또 다른 하나의 길이 있다. 이제 이야기하려는 책, «부처님의 가르침»이 바로 그것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빨리어본 «아함경»에서 채록하여 일역한 것을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이 책의 편역자는 增谷文雄, 즉 마스타니 후미오다. 인터넷서점 알라딘에서는 편역자를 “증곡문웅”이라고만 표기해 놓아 검색을 불편하게 해 놓았다. 그래서 마스타니 후미오의 «불교개론»이나 «아함경»을 감동적으로 읽었던 나도 이 책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니 도서관 서가에 꽂혀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은 순전히 운이었다. 반가운 마음에 냉큼 빌려와 찬찬히 읽어보니 과연 마스타니 후미오였다.

이 책은 아함부에서 뽑아낸 약 90여편의 경전을 모두 8장으로 나누어 편집했다. 이 가운데 제1장 ‘구도’와 제2장 ‘전도의 시작’ 그리고 제7장 ‘최후의 설법’은 대체로 편년사적 순서로 배열했다. 또 제3장 ‘근본설법’에서 제6장 ‘비유설법’에 이르는 것은 모두 설법의 내용과 주제, 형식과 유형에 따라 집록했다. 제8장은 ‘성구’편인데 여기서는 약 150개의 성구를 수록했다. 이것들은 대부분 부처님의 말씀이지만 몇 가지는 제자들의 것도 있다. 이런 방식은 «법구경»에서 배운 것이다.

한 가지 더 밝혀둘 것은 번역용어에 관한 부분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현대인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옮기는 데 더 뜻이 있으므로 경전고유의 서술방식이라 하더라도 뜻이 통하도록 과감히 손질을 했다. 그리고 옛 불교술어는 될 수 있는 대로 오늘의 적당한 말로 바꾸었다. 다만 ‘여래’ ‘열반’과 같은 용어는 현대의 말로 바꾸기 어려워 그대로 두었다. 옛 번역자들도 이런 경우는 ‘존중고'(尊重故)라 하여 그냥 두었던 선례가 있다. 그러나 인명과 지명 등 고유명사는 종래의 한역을 피하고 원음을 표기했다.1

마스타니 후미오의 머리말에서 인용한 위 인용문은 이 책의 소개문으로 읽힐 만하다. 위 인용문에서 “경전고유의 서술방식이라 하더라도 뜻이 통하도록 과감히 손질했다”는 말은, 경전의 정형구나 반복구를 생략하였고 그 공백을 보완하기 위해 뜻이 통하도록 필요한 문장을 삽입했다는 의미이다. 이것은 책의 무게를 덜기 위한 방편일 뿐 뜻을 훼손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들고 다니기에 편한 한 권의 책으로 «아함경»을 맛볼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머리말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소개해야 할 점이 한 가지 있다. 마스타니 후미오는 «아함경» 빨리5부뿐만 아니라 율장까지도 망라하여 채록하긴 했지만, «쌍윳따니까야»에서 주로 채록하였다. 이는 «쌍윳따니까야»가 긴 설법들을 모아놓은 «디가니까야»나 중간 길이의 설법들을 모아놓은 «맛지마니까야»에 비해 각 경의 길이가 짧고 또 고층(古層)에 속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선택과 편역자 나름의 의도에 의하여 이 책에 실린 경들은 짤막짤막하다. 그래서 읽기가 수월하면서도 한 대목 한 대목 쉬면서 읽도록 만들고 있다. 읽고 쉬는 호흡이 참 편하다. 경전처럼 늘 곁에 두고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아니 실제로 이 책은 경전이다!

그리고 이 책은 각 경마다 출전과 그 경전명을 밝히고 있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것도 빨리5부와 한역아함경을 공히 밝히고 있다. 하기야 빨리5부와 한역아함경의 비교목록을 세계 최초로 제시한 이도 일본학자이니 이러한 색인작업은 일본인으로서 아주 쉬운 일일 것이다.

마스타니 후미오의 «부처님의 가르침»은 일본이 1936년~1942년 사이에 빨리5부의 경전뿐만 아니라 율장과 논장까지 완역한 이후에 이뤄진 결실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현재 일본에는 한역경전들을 문헌비평하여 편집한 «大正新修大藏經», 한역경전류를 일역한 «國譯大藏經», 그리고 빨리어 삼장을 비롯한 남방의 중요 전적을 일역한 «南傳大藏經»이 완비되어 있다. 세계에서 일본만큼 불교의 문헌을 완비한 나라도 없다. 이러한 성과 이후에 마스타니 후미오 같은 학자들도 나오는 것이고, «부처님의 가르침»과 같은 간략한 경전도 나오는 것이다. 빨리어 삼장의 번역만을 놓고 비교하자면 우리나라는 일본에 한 60년 정도 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문의 진보가 반드시 신심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종교의 불가사의이기도 하다.

그러나 과연 이러한 불교의 학문적 연구의 진보가 불교 자체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일까? 불교의 역사나 문헌 등의 사실을 아무리 분명하게 밝혀 낸다고 해도, 이것으로 불교에 대한 신심이나 실천이 반드시 깊어진다고는 말할 수 없다.2

자국의 학문적 연구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질 만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겸허함을 갖춘 일본 불교학자들의 세계가 자못 궁금하다.

  1. 마스타니 후미오, «부처님의 가르침»(불교시대사, 1992) 7~8면 []
  2. 미즈노 고겐, «경전의 성립과 전개»(시공사, 1996) 198면 []

마스타니 후미오,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1개의 댓글

  • 본문에서 니까야에 대한 말씀이 나와서 댓글을 달아봅니다…

    서울대학교에서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달에 비교적 낮은 금액으로 도서관회원증을 발급해주는데요,

    불교 관련 장서 보유량이 상당합니다.

    말씀하신 니까야 번역서도 빠짐없이 구비되어 있는데 안타깝게도 읽는 사람은 드문 형편입니다…

    책을 사야 한다는 부담 없이 많은 양의 불교 저서를 보고 싶으시다면 해당 서비스를 참조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장서의 선정 기준이 괜찮아서 양질의 책이 많다고 생각됩니다.

    절판되서 구하기 어려운 책들도 많이 있다는 점도 장점이구요…

    불교논리
  •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